친환경세제로 세탁조 청소해보기
요즘은 젊은 엄마들이 워낙에 환경에 대해서 예민하고 신경들을 많이 쓰기때문인지
정보화시대여서 그런것인지
인터넷으로 TV로 참 많은 정보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얼마전에는 우연히 TV방송에서 친환경세제로 살림을 하는 주부9단들의 솜씨겨루기 방송을 보게 되었답니다.
저도 새아파트로 이사를 온지 어언 5년이 되어가는데 그동안 세탁기안의 세탁조청소를 한번도 안하고
살아온지라 늘 찝찝한 마음이 들었는데 떡본김에 제사지낸다고 세탁조청소하는 법을 배운김에
청소해보리라 했는데...
옆 집 친구는 뭐니 뭐니 해도 락스가 세탁조청소에는 최고라고 강추를 합니다. ㅠ
일단 저는 그 친구의 추천으로 두루마리 휴지를 세탁조옆 사이 고무바킹이 있는 공간에
휴지를 두껍게 접어서 잘 낀 후에 락스를 흠뻑 뿌려둔 채로 하루밤을 보냈습니다.
세탁기 입구에 있는 고무바킹 사이에 있는 휴지들을 뺑 둘러가며 락스를 뿌린 후
하루밤을 보냈더니 틈사이에 있던 곰팡이들은 조금 흐려진 것 같았지만
애초 목적이 친환경세제로 세탁조 청소하기였기에 마트로 친환경 세제를 사러 갔습니다 ㅎㅎㅎ
친환경세제의 3총사^^
과탄산소다와 베이킹소다 그리고 구연산을 마트에서 사왔습니다.ㅎㅎㅎ
과탄산소다는 세제나 세정제의 원료로 형광증백제나 염소 혹은 계면활성제가 전혀 들어가있지 않은
100% 산소계 살균표백제여서 신생아나 유아의 기저귀나 의류를 세탁할 적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잘 기억했다가 나중에 손주가 태어나면 손주옷 세탁할 때 써봐야 하겠어요 .
과탄산소다를 세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과탄산소다가 물과 만나면 산소가 발생해서 옷의 얼룩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이랍니다.
과탄산소다는 표백제의 주성분이기 때문에 작은 양을 사용해도 큰 효과를 볼 수가 있답니다.
하지만 꼬~옥 명심해야 할 점은
과탄산소다는 반드시 뜨거운 물에 녹여서 부어주거나 온수로 세탁을 해야 한다네요^^
베이킹소다는 식품첨가제로 빵을 만들 때에도 사용할 정도로 친환경 제품입니다.
그러나 베이킹소다에도 세정효과가 있고, 베이킹소다가 약알카리성 물질이라서 산성과 결합하면 중화한답니다.
그래서 나쁜 냄새나 기름 등의 산성물질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는거라네요^^
만일 베이킹소다로 과일을 씻고 싶다면 베이킹소다를 넣은 물에 과일을 담그고 10분 정도 지나면
농약이나 더러운 찌꺼기 등이 제거가 된답니다.
구연산은 소독효과가 뛰어나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구연산을 희석한 물을 유아용품이나 리모콘 등에 뿌려주면 뛰어난 살균작용을 한답니다.
베이킹소다는 알카리성이고 구연산은 산성인데 이 두 가지 제품을 혼합하면 화학반응으로 거품이 일면서
세척이 되는 것인데 소독효과가 상당히 크답니다.
세탁기의 세탁조청소하기
1. 과탄산소다 2컵과 베이킹소다 1컵, 구연산 1컵을 세탁조에 넣어둡니다.
2. 과탄산소다는 반드시 온수에 녹여야 하므로 세탁기 물을 온수로 틀어줍니다.
3. 온수를 고수위까지 가득 메워서 세탁기를 10분 정도 돌려서 과탄산 소다를 녹입니다.
4. 빈통으로 세탁기를 돌리는 것보다 빨래를 넣고 하는 것이 훨씬 세탁조청소가 잘된다고 해서
집안 구석에 놓여있던 찌든 하얀수건 등을 찾아서 세탁기에 담궜습니다.
4. 세탁기능을 '삶음'으로 선택하여서 2시간 20분 정도 소요되는 세탁을 했습니다.
* 일반세탁기라면 과탄산소다 넣은 상태에서 한나절 정도를 방치해서 세탁기 안에 붙어있는
곰팡이나 먼지들이 불어서 떨어질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한다지만 저희집 세탁기는 드럼세탁기여서
불리기과정은 생략했답니다.
빨래 끝~
세탁조청소를 위해 세탁기를 삶음 기능으로 돌리면서 걸레도 함께 빨았더니
하얀 수건이 되었네요 ㅎㅎ
앞으로 종종 친환경 세제를 사용해서 집안 청소를 해봐야 하겠습니다^^
'【살아가는 일상사】 > ▷ 천하무적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거래위임장 작성하는 방법 알아보기 (2) | 2014.06.28 |
---|---|
아파트 현관 번호키 비밀번호와 건전지 바꾸기 (0) | 2014.06.18 |
이사할 때 안전하게 등기부등본 보는법 (1) | 2014.05.27 |
장안의 화제인 탈모방지예방 발모차를 만들어 봤습니다. (2) | 2014.05.22 |
자동차의 원격 시동키로 다른 자동차도 열리지는 않을까요? (0) | 2014.04.08 |